fellou ai browser

경상남도 함양군

torak3h 2025. 6. 12. 21:10

함양군의 지리적 특성, 인구현황, 역사문화, 관광자원, 경제산업, 교통인프라 등 모든 측면의 정보가 시각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. 함양군의 현황과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자료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https://chat.fellou.ai/report/342277f9-2e44-4f0a-94c7-7c874248e163

 

Fellou

 

chat.fellou.ai

 

 

함양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으로, 동쪽은 거창군·산청군, 서쪽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·장수군, 남쪽은 하동군, 북쪽은 거창군과 접하고 있다. 면적은 725.45㎢이며, 2015년 기준 인구는 4만 339명이다. 행정구역은 1개 읍, 10개 면, 259개 행정리(103개 법정리)로 구성되어 있다. 군청은 함양읍 운림리에 위치한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
1. 지리적 위치 및 자연환경

2. 역사

  • 선사시대: 수동면 상백리, 안의면 이전리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 출토되었다. 함양읍 백천리 고분군 발굴조사를 통해 5~6세기경 가야문화권에 속하는 부족국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삼국시대: 신라가 이 지역을 거쳐 남원·운봉까지 진출하며 백제와 격렬한 쟁탈전이 벌어졌다. 신라 통일 후 '속함' 또는 '함성'이라 불렸고, 757년(경덕왕 16) 천령군으로 개칭되었다. 신라 말 최치원이 함양 태수로 재임하며 상림 둑을 쌓고 나무를 심었다고 전해진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고려시대: 1018년(현종 9) 함양군으로 개명되었다. 1380년(우왕 6) 왜구가 함양성을 함락하였으나 이성계에 의해 섬멸되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조선시대: 1395년(태조 4) 함양군으로 승격되었고 함양향교가 창건되었다. 1470년(성종 1) 김종직이 함양군수로 재임 중 유자광의 현판을 철거한 것이 무오사화의 불씨가 되었다. 1597년(선조 30) 정유재란 당시 조종도 함양군수와 곽준 안음현감이 황석산성에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순국하였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근현대: 1895년(고종 32) 지방관제 개정으로 안의현이 군으로 승격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안의군이 폐지되면서 일부 지역이 함양군에 편입되어 총 12개 면이 되었다. 1957년 함양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. 1984년 88올림픽고속도로(현 광주대구고속도로)가 개통되어 지역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
3. 유물 및 유적

  • 불교 유산: 승안사지삼층석탑(보물), 함양석조여래좌상(보물), 함양 덕전리 마애여래입상(보물), 벽송사삼층석탑(보물), 용추사일주문(보물) 등 다수의 불교 유산이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교육·정신문화 유산: 함양향교, 안의향교(경상남도 유형문화재), 남계서원(경상남도 유형문화재), 교수정(경상남도 문화재자료), 함양상림(천연기념물) 등이 있다. 특히 함양상림은 최치원이 태수로 재임할 당시 홍수 피해 방지 및 자연 경관 보존을 목적으로 심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주거 유산: 함양일두고택(국가민속문화재), 함양허삼둘고택(국가민속문화재) 등 고가가 보존되어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산성: 함양사근산성(사적), 황석산성(사적)은 삼국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, 역사적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로 기록되어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민속 유산: 벽송사목장승(경상남도 민속문화재), 영은사지석장승(경상남도 민속문화재) 등이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
4. 교육 및 문화

  • 조선시대 교육기관: 함양향교, 안의향교, 남계서원 등이 있었으며, 대원군 서원철폐령으로 인해 다수의 서원이 철폐되기도 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근대 교육기관: 1902년 사립함명학교, 1910년 사립의명학교가 개교하였고, 1920년 함양공업학교가 개설되어 중등실업교육이 시작되었다. 2015년 기준 초등학교 13개 교, 중학교 6개 교, 고등학교 4개 교가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문화행사: 함양문화원에서 매년 5월 천령문화제를 개최하여 전통문화의 발굴·계승에 힘쓰고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민속놀이: 씨름, 줄다리기가 대표적이며, 널뛰기, 그네뛰기, 꼰뜨기, 낫치기, 호미치기, 엿치기 등의 놀이가 전해진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마을 공동체 의식: 마을마다 노거수(오래된 큰 나무)가 있어 동제(마을 수호신에게 드리는 제사)를 지내며 공동체 의식을 다진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설화 및 민요: 최치원, 박문수, 정여창 등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설화와 지리산, 덕유산 등 지형적 특성과 관련된 설화가 많다. 「질꾸내기」, 「함양 양잠가」, 「모내기노래」, 「시집살이노래」 등 다양한 민요가 전승된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
5. 경제 및 산업

  • 산업 구조: 전체 면적의 76.5%가 임야이고 농경지는 14%에 불과하지만, 주 산업은 농업이다. 100% 전업농가 비율을 보여 전형적인 농업 지역의 특성을 나타낸다. 제1차 산업 종사자는 176명, 제2차 산업(광공업) 종사자는 1,780명(제조업 분야)으로 미미한 수준이다. 제3차 산업(상업 및 서비스업) 종사자가 8,367명(2008년 기준)으로 가장 많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농업: 주요 농산물은 쌀 외에 보리, 콩, 고구마, 감자 등과 배추, 무, 양파, 마늘 등 채소류, 약용작물(구기자, 질경이 등)이 생산된다. 한우, 돼지, 닭 등 축산과 양봉, 양잠도 이루어진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 각 읍면별 특산품으로는 서상면의 파프리카, 고랭지 채소, 화훼, 버섯, 방짜유기, 백전면의 석이, 오미자, 산수유, 송이, 벌꿀, 병곡면의 병곡배, 밤 등이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상업: 2개의 상설시장과 3개의 정기시장이 있으며, 특히 5일장은 지역 토산품과 한약재 거래로 명성을 얻었으나 1980년대 이후 쇠퇴 추세이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산업단지: 수동농공단지, 이은농공단지, 원평농공단지, 안의전문농공단지 등이 조성되어 운영 중이다. 함양일반지방산업단지는 화물터미널, 집배송단지, 가공제조 및 조립 시설 등을 갖추고 함양군의 경제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
6. 인프라

  • 교통: 광주대구고속도로(옛 88올림픽고속도로)가 군의 중앙을 동서로 가로지르며, 대전-통영간 고속도로가 남북으로 지나 교통의 요충지이다. 국도 3호선은 거창과 산청으로, 국도 24호선은 남원과 연결된다. 각 읍면별로도 국도와 지방도가 연결되어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체육시설: 백연리에 공설운동장과 함양실내체육관, 석천리에 안의체육관이 있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
7. 관광

  • 자연 경관: 소백산맥 동사면에 위치한 산악지역으로 지리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에 인접해 있다. 지리산 천왕봉으로 오르는 3개의 등산로가 있으며, 백무동∼천왕봉 등산길은 지리산의 절경으로 꼽힌다. 금천 상류는 청계옥수인데다가 종월정, 동호정, 거연정, 군자정 등 정자가 많아 사계절 관광객의 발길이 이어진다. 용추폭포를 비롯한 용추사지, 옥계, 서계 등도 수려한 자연 경관을 자랑한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
  • 축제: 물레방아축제는 최치원 선생의 유업을 기리기 위해 개최되며, 장승문화 복원 및 전승을 위한 장승깍기축제도 주요 행사이다. [[https://encykorea.aks.ac.kr/Article/E0062181]]